한국콜마가 동물성 콜라겐의 효능을 뛰어넘는 비건(vegan) 콜라겐 부스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신원료는 지난 5~7일 태국 방콕의 아시아 최대 화장품 원료·소재 전시회인 ‘2024 인코스메틱스 아시아(in-cosmetics ASIA)’에서 소개된 식물성 콜라겐 부스팅 성분 ‘플로라겐(Flollagen)’이다. 플로라겐은 한국콜마가 특허받은 효소처리공법을 통해 개발한 성분으로, 식물의 세포벽을 깨고 당 단백질인 ‘익스텐신(Extensin)’을 추출해 만든다. 한국콜마 연구진이 히비스커스에서 추출한 익스텐신으로 만든 플로라겐을 실험한 결과 동물성 콜라겐보다 보습 및 탄력, 리프팅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 임상 결과 히비스커스 플로라겐이 1% 함유된 크림을 4주간 사용했을 때 피부의 수분 함량과 탄력이 각각 11.8%, 13% 증가했다. 한국콜마 관계자는 "플로라겐은 동물성이 전혀 없는 천연 식물성 단백질로, 피부 회복 및 리프팅 효과가 있어 기능성 비건 화장품 성분으로 적합하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마켓리서치비즈에 따르면 2024년 글로벌 비건 화장품 시장은 178억 8000만 달러(한화 24조 9712억원)로 연평균 6.
LG생활건강의 프리미엄 스킨케어 브랜드 벨먼에서 목욕할 때마다 5성급 호텔의 고급스러운 향을 느낄 수 있는 새로운 바디워시와 바디로션을 출시했다. ‘벨먼 시그니처 퍼퓸 앤 모이스처 바디워시’는 특유의 고급스러운 향기가 돋보이는 제품이다. 하얀 거품이 연상되는 고급스러운 비누향인 ‘퓨어 머스크(Pure Musk)’ 향과, 촉촉한 숲속의 나무와 꽃 향기를 더해 편안한 ‘어반 포레스트(Urban Forest)’ 향을 담았다. 이번 신제품은 세계 각지에서 엄선한 성분들을 모아 만든 보태닉 에센스TM를 담았다. 건조한 서아프리카에서 4세기부터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했던 시어버터를 비롯해 해바라기씨 오일, 레몬밤 워터, 올리브 오일, 아르간커넬 오일, 편백잎 추출물, 캐모마일꽃수(水)를 함유했다. 여기에 판테놀, 세라마이드, 히알루론산, 나이아신아마이드, 비건콜라겐 등 스킨케어 성분들을 첨가해서 피부를 촉촉하게 가꿔준다. 또한 벨먼 시그니처 바디워시는 코코넛 유래 세정 성분을 담은 약산성 pH 처방으로 온 가족이 사용할 수 있다. 바디워시와 바디로션 모두 피부 자극 테스트를 완료했으며 실리콘 오일, 파라핀 왁스 등 화학 성분을 배제했다는 설명이다.
디어달리아가 홀리데이 시즌을 맞아 화려한 스파클 글리터에 투명한 볼륨감을 더해 빛나는 입술을 연출해주는 ‘파라다이스 스파클 립 글레이즈(PARADISE SPARKLE LIP GLAZE)’를 선보인다. 프레시한 쿨링감을 주는 립 플렁핑 성분이 더해져 보다 입체적인 글래머러스 립 메이크업을 완성해주는 스파클링 펄 플럼핑 립 글로스이다. 글리터와 쉬머, 2가지 피니쉬로 출시되며 △ 극강의 반짝임 ‘프로스트(FROST)’ △ ‘스프링클(SPRINKLE)’ △ 은은하게 빛나는 ‘크리스탈(CRYSTAL)’ △ ‘러브스톤(LOVE STONE)’ △ ‘어메이즈(AMAZE)’ 총 5가지 컬러로 만나볼 수 있다. ‘어메이즈’는 채도를 반 톤 낮춰 주는 컬러 체인징 립글로스로 다른 제품과 함께 연출하면 깊이감 있는 메이크업을 완성할 수 있다.
조선미녀(Beauty of Joseon)가 미국 캘리포니아주 LA 멜로즈거리에서 ‘라이스 원더랜드(RICE WONDERLAND)’ 팝업스토어를 11월 8~16일까지 9일간 운영한다. 이번 팝업 운영은 브랜드의 베스트셀러인 ‘라이스 라인’을 주력으로 보여준다. 주원료인 ‘쌀’에서 영감을 얻어 ‘쌀’을 활용한 다채로운 세계관으로 채워진 공간 속에서 라이스 라인 7종 등을 만날 수 있다. 라이스 라인 제품으로는 대표적인 ‘맑은쌀꿀채운마스크’, ‘맑은쌀채운토너’, ‘쌀겨수세럼’, ‘조선미녀 크림’ 등이 있다. 브랜드를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로 쌀을 활용한 음료 및 디저트를 맛볼 수 있는 ‘RICE BAR’, 그리고 인증샷을 남길 수 있는 포토부스 촬영 기회가 제공되며, 매일 선착순 촬영 고객 500명을 대상으로 제품 트라이얼 키트를 증정할 예정이다. 신제품 ‘틴티드 선 플루이드’가 단독으로 선공개 될 예정이다. 12가지의 컬러로 다양한 인종과 개인의 피부색에 맞춰 개발된 자외선차단제로, 자연스러운 톤 보정 효과와 유분기 없는 피부 연출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조선미녀’는 한국의 전통 한방 원료와 현대 기술을 결합시킨 모던 한방을 콘셉트로, 뛰어난 제품력과
산업통상자원부 1·2차관과 대통령비서실 산업정책비서관을 역임한 강경성(59)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신임 사장이 11일 취임했다. 서울 서초구 본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주요 경영방침과 혁신방향을 밝히며 글로벌 비즈니스 인프라로서 KOTRA의 역할과 책임을 역설했다. 강 사장은 취임사에서 “세계 5대 수출강국, 투자대국, 글로벌 통상 중추국가를 향한 KOTRA의 시대적 소명을 위해 혼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는 다짐을 전했다. 강 사장은 먼저 “대한민국 수출의 유능한 길잡이가 되자”며, 수출 5강 도약을 위해 수출의 주체·품목·시장을 새롭게 발굴하고 키워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시장조사, 바이어발굴, 애로해소 등 수출 전 과정을 연속성 있게 지원하고, 원전·바이오·방산·서비스 등 전략산업 수출을 확대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수출지원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KOTRA는 “민첩한 글로벌 파수꾼”으로서 해외의 위기신호와 시장기회를 조기에 포착하여 신속하고 깊이 있게 전파해야 함을 강조했다. 글로벌 사우스 부상, 주요국의 첨단산업 육성 등 지역별 기회요인이 우리 기업의 성과로 이어지도록 전략 수립과 지원사업을 적극 추진하자는 방안을 제시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벤처기업의 현지 인지도 확보 및 중동시장 진출을 촉진하기 위해 ‘K-화장품(뷰티) 혁신사절단’을 사우디아라비아에 파견했다. 지난 8월 베트남 파견에 이어 두 번째다. 이번 사절단은 중소기업 수출 1위 품목인 화장품 분야로 집중하여 혁신사절단을 구성하였다. 이번 사절단 파견은 지난 7월 오영주 장관과 사우디 상무부 장관과의 양자면담 시 에이만 알 무타이리(Eiman AlMutairi) 차관이, ‘K-화장품(뷰티)’ 인기를 언급하며, 11월의 ‘BIBAN 2024’ 행사에 한국의 뷰티 중소기업들이 사우디에 와주기를 희망한다고 밝힘에 따라 이뤄졌다. 이에 따라 11월 5~9일까지 총 5일간 ‘BIBAN 2024’ 행사장 내 K-화장품(뷰티) 전시‧홍보관이 설치됐다. 한국뷰티산업무역협회(KOBITA) 김성수 회장은 현지에서 사절단과 함께하며, 한국관을 구성, 운영했다. 이번 전시홍보관에는 관람객들이 우리 기업 제품을 직접 사용하고 체험할 수 있는 오픈형 화장품(뷰티) 체험 공간을 선보였다. ‘체험행사(메이크업쇼)’, 현지 유명방송인(인플루언서)의 현장 스케치 등도 함께 진행하여 사우디아라비아에 K-화장품(뷰티)의 혁신성과 기술력을 알렸다. 젠스
지난 11월 4일,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은 Beiersdorf 그룹이 개발한 미백 성분인 Isobutylamido Thiazolyl Resorcinol(상품명: Thiamidol 630)을 중국 신원료로 공식 승인했다. 이는 2021년 5월에 발효된 화장품 감독 관리 규정(CSAR) 하에서 최초로 승인된 고위험군 미백 신원료다. REACH24H 컨설팅 그룹은 Beiersdorf 그룹이 성공적으로 승인을 마치기까지 약 10년간 중국 화장품 규제 준수 자문 및 기술적 지원을 제공해왔다고 밝혔다. Thiamidol 630은 Beiersdorf 그룹이 개발했으며 철저한 효능 및 안전성 평가를 거쳤다. 흡입 가능성이 있는 제형을 제외하고는 모든 제품에 사용 가능하다. Beiersdorf는 중국 내 미백 신제품 개발에 기회를 얻게 될 예정이며, 이미 유럽과 다른 지역에서 판매 중인 제품의 위생허가를 발빠르게 진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리이치24시코리아(주) 손성민 대표는 “지금까지 우리 그룹이 20여건 이상의 중국 신원료 신고/허가 성공 사례를 보유하고 있는 만큼, 탄탄한 실력을 통해 현재 진행 중인 한국 기업들의 신원료 승인 사례도 꼭 성공적으로 만들어 보
(사)한국독성학회/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회장 최경철)는 부산 BEXCO 컨벤션홀에서 제40차 정기학술대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11월 4~6일까지 진행된 학술대회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및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와 공동 주관하고 안전보건공단 및 부산관광공사에서 후원하였으며 학계, 정부, 산업계 관계자 등 600명이 참석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혁신적 독성과학: 더 건강한 사회를 위한 한계극복’을 주제로 국내외 저명학자들을 초청하여 독성학 분야의 학술 교류와 발전을 모색하였다. 기조강연에는 동국대학교 김상건 교수, 대만독성학회 회장이자 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의 Ying-Jan Wang 교수, 네덜란드 Utrecht University의 Hans Clevers 교수, 일본 Tohoku Medical and Pharmaceutical University 황기욱 교수 등 세계적인 석학들이 발표해 큰 호응을 받았다. 학술대회에서는 ▲ 화학물질의 안전성·독성뿐만이 아니라 백신 등 첨단바이오의약품개발에서 전임상시험 및 안전성·독성에 관한 최신 동향 ▲ 실험동물의 희생을 줄이고 규제과학에서 새로운 방법으로 시도 중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