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천연유기농 화장품기업 ㈜대한뷰티산업진흥원(대표 강유안)이 눈가 전용 ‘딥프루브 아이 미스트(Deeprove Eye mist’를 선보였다. 이 제품은 식약처의 ‘유기농 화장품 인증’ 및 이탈리아 비건 인증 ‘V-Label'을 받았다. 눈가에 분사하는 미스트로 안자극 인체젹용시험 및 피부자극 안전 테스트도 완료했다고 한다. 민감한 피부에도 사용 가능하며, 보습에 도움을 주는 효과도 확인했다. 또한 친환경 FSC 인증 산림 제지와 콩기름 잉크 패키지, PCR 100% 용기를 사용하는 등 ESG 경영에도 한발짝 앞서가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강유안 대표는 “딥프루브는 제주 비자나무 씨앗 오일에서 추출한 인체형 에코 세라마이드 NP를 함유했다. 제주의 청정 자연 생명력을 담은 브랜드 스토리로 국내뿐 아니라 일본, 필리핀, 중국, 말레이시아 등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다”라며 “‘딥프루브 아이 미스트’를 비롯 다양한 천연 뷰티 아이템에 대한 반응이 좋아 2024년도 매출 증가가 기대된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한국콜마가 피부 진정 효과의 난용성 유효 성분을 선스틱 제품에 안정적으로 혼합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난용성 성분은 물과 기름에 잘 섞이지 않는 성질의 성분을 뜻한다. 이는 ‘난용성 성분을 안정화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조성물’로 특허등록을 완료했다. 이 기술은 마데카식애씨드 등 피부 진정 효과가 뛰어난 난용성 성분을 선스틱 같은 고체형 선케어 제품의 제형 변형 없이 안정적으로 혼합시키는 기술이다. 기존에 스틱형 선케어 제품에 난용성 성분을 넣기 위해서는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왁스 성분의 함량을 높여야 했다. 하지만 왁스 함량이 증가하면 뻑뻑하고 발림성이 저하되는 등 사용감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콜마가는 왁스 함량을 최소화하면서도 난용성 성분을 안정적으로 혼합시켜 스틱형 제품의 형태를 유지시킨다. 이 기술이 적용된 특허 조성물은 온도가 높아지면 피부 밀착력도 높아지는 성질이 있다. 이 때문에 여름철이나 고온의 날씨에도 땀이나 피지에 의해 자외선차단 성분이 잘 지워지지 않아 높은 지속력을 기대할 수 있다. 이와 별도로 지난 10월 ‘내수성과 피부 밀착력이 향상된 분체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특허’도 등록 완료했다. 일반적으로 선케어
‘바이오 메디컬 활성소재 개발 플랫폼 기술’을 보유한 ㈜케이메디켐(대표 이구연, 강원대 생명공학과 교수)의 신약 후보 물질 개발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지난 11월 22일 ㈜케이메디켐은 ‘AI와 분자모델링 기술 기반 바이오연구기업인 ㈜엘앤피솔루션과 전략적 파트너십 협약(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올해 정부 과제를 공동으로 수행하여 원천 특허를 확보했을 뿐 아니라 많은 연구 성과를 도출한 바 있다. 이에 ㈜케이메디켐이 보유하고 있는 독창적이고 약물성이 우수한 천연물 모핵 기반의 라이브러리 데이터베이스와 ㈜엘앤피솔루션의 바이오 빅데이터 분석과 최적의 AI 모델 개발 기술을 통해 신약 후보 물질 개발의 성공률과 효율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케이메디켐은 ▲ 촉매반응 기반 고효율 유기합성 기술 ▲ 천연물 유효성분 분리/구조 규명 기술 ▲ 컴퓨터 분자 모델링을 통한 생리활성 물질 설계 기술 등을 바탕으로 신약 및 다양한 바이오메디컬 활성소재를 개발하는 선도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엘앤피솔루션은 AI, 빅데이터, 분자모델링 시뮬레이션 연구를 위한 계산용 고성능 계산 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보유하고 있다. 또 저분자, 고분자 단백질, 천연물 신약 개발 등 다양한
토니모리가 슈가 시럽이 코팅된 것 같은 광택감과 볼륨을 살리는 입술로 연출해주는 신제품 ‘겟잇틴트 글레이즈 밤’을 출시했다. 최근 탕후루 립, 부드러운 벨벳 같은 느낌의 스머징 립 등 컬러를 마음껏 표현하고 건조하지 않고 주름없이 매끈한 광택을 내고자 하는 니즈가 크다. 이에 토니모리는 수분 가득한 벨벳 텍스처가 입술에 스며들어 보송하게 마무리되는 ‘겟잇틴트 라인’의 4번째 제품으로 ‘겟잇틴트 글레이즈 밤’을 선보인다. 독보적인 메가 샤인 글레이즈 코팅으로 다각도에서 균일하고 입체적인 광택감을 선사한다. 또 시원한 쿨링감이 도는 플럼핑으로 기존 뜨거운 플럼퍼와는 달리 자극감 없이 볼륨있는 립을 연출해준다. 더불어, 입술 온도에 사르르 녹는 모이스처 글로스 스틱으로 주름 사이 빈틈없이 코팅해주어 수분 증발을 막고 오랜 시간 광택감을 유지한다. 사계절 내내 찾게 되는 퍼스널 톤 별 맞춤 컬러 5가지로 전개된다. 싱그럽고 우아한 로즈 다발을 곱게 갈아 만든 뉴트럴 컬러 ’01 로지 퓨레’, 블루베리와 라즈베리를 조화롭게 섞어 댄디함에 절인 뮤티드 컬러 ’02 베리 플럼’, 새콤한 딸기와 달달한 슈가를 블렌딩한 ’03 핑크 슈가’, 당도 높은 맑은 빨간 사과에 시럽
‘K-Beauty Insight Forum’을 주제로 제26회 한국화장품미용학회(회장 지홍근) 추계학술대회가 11월 17일 성신여대 미아운정그린캠퍼스에서 열렸다. 화장품산업의 통찰(인사이트(insight)은 ‘지속가능한 비즈니스를 어떻게 할 수 있는지’ 고민에서 비롯된다. 이는 “화장품·뷰티산업 및 다양한 분야의 상호협력과 공동연구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모색하고 희망찬 비전을 만들어 가는 혁신적인 학회가 되고자 노력할 것”이라는 지홍근 회장의 인사말에서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 이날 학회는 ▲ ‘IFSCC 2023’의 화장품 기술 동향(H&A파마켐 지홍근 CTO) ▲ 환경과 사회변화 속 코스메틱 6차 산업(위드보타닉 윤서희 대표) ▲ 증강현실(AR)플랫폼 특성이 페르소나 형성 및 현존감과 결과행동에 미치는 영향’(연성대 최주희 외래교수) ▲ ‘MZ세대 여성들의 자아존중감이 물질주의 영향력에 따라 뷰티케어행동과 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명지전문대 김슬기 외래교수) ▲ ‘한국 화장 문화와 방송 환경 변화에 따른 여성 아나운서 메이크업의 변화연구 : 2000년 이후를 중심으로’(성신여대 이나래) ▲ ‘김 유래 미코스포린 유도체, 천연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
아모레퍼시픽이 개발한 '립큐어빔(LipcureBeam)' 기술이 CES 2024(Consumer Electronics Show 2024) 혁신상을 받았다. 아모레퍼시픽은 이번까지 CES 혁신상을 5년 연속 수상했다. CES 2024 디지털 헬스(Digital Health) 부문에서 수상한 '립큐어빔(LipcureBeam)'은 하나의 기기로 입술 진단과 케어, 메이크업이 모두 가능한 신개념 뷰티테크 디바이스다. '립큐어빔' 기기의 캡 상단에는 개인의 입술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정밀 센서가 내장되어 있다. 사용자가 입술에 디바이스를 대면, 즉각 입술 수분 상태를 감지해 진단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캡과 용기를 분리하면 메이크업 도구가 나오는데,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솔대 형태의 화장품 도포 장치에서 개인에게 최적화된 가시광선이 방출되어 입술 케어를 돕는다. 아모레퍼시픽 R&I 센터에서 개발한 빛 감응성 물질을 입술에 바르고, '립큐어빔'에서 나오는 빛을 조사하면 천연 비타민의 한 종류인 리보플래빈(riboflavin)의 반응을 극대화할 수 있다. 관련 반응은 입술 내부의 콜라겐 섬유를 강화해주고, 입술 표면에 보습막을 형성해준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대한화장품학회 3차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가 16일 더케이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렸다. 화장품 과학자들은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초청 강연을 통해 뉴노멀의 K-뷰티를 모색했다. 이는 박영호 회장의 인사말에서도 잘 드러난다. 그는 “팬데믹으로 인한 어려움이 오래된 과거처럼 느껴질 정도로 국내외 정치·경제·사회·과학기술 모든 면에서 큰 변화를 실감하고 있다”고 전제하고 “그 상황에서 K-뷰티가 전세계 화장품 시장의 변화를 주도하는 Key Player로서 자부심을 가질 정도로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박 회장은 글로벌 시장이 주목하는 K-뷰티로선 책임지고 해결해야 할 어려운 도전과제가 연구 개발자들에게 놓여 있다고 말했다. 즉 전지구적 환경, 지속가능 이슈, 인구위기, AI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확산과 함께 산업 내부적으로 미국의 MoCRA 제도 시행, 글로벌 확장 위한 국가/권역별 개발전략 수립 등이다. 박 회장은 “이들 과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서 선제적으로 해결하고 우리 K-뷰티만의 경쟁력과 새로움을 창조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우리 학회가 더욱 주도적으로 화장품 연구개발의 경계와 정의를 확장시키면서 Open Innovation을 리딩하는 대표 창구로서
스마트 뷰티 전문 기업 ㈜퀸덤이 혁신의 아이콘으로 불리는 세계 최대 박람회 ‘2024 CES’에서 혁신상을 수상했다. 이번 혁신상을 수상한 ㈜퀸덤의 ‘ctorigin S1(닥터리진 S1)’ IT 및 ICT 기술과 융합한 스마트 뷰티이다. 피부 진단 AI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최적의 개인 맞춤 피부 개선 솔루션을 사물인터넷 기반(IoT Beauty Device)으로 실시간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피부 개선 효과를 체감케 한다는 콘셉트다. (관련기사 닥터리진 S1,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장치 및 시스템’으로 특허청장상 수상 http://www.cncnews.co.kr/news/article.html?no=8808 ) 실제 경쟁이 심한 부문임에도 CES 사무국 심사위원들은 혁신적 제품과 서비스에 높은 평가를 매겼다는 후문이다. ㈜퀸덤의 김현수 대표(CSO)는 닥터리진 S1은 한국의 IT 및 ICT 기술을 뷰티와 융합한 시스템이다. 핵심 기술을 산·학·연 및 IT 기업과 협업을 통해 고도화시킨 차세대 스마트 뷰티로 K-뷰티의 미래를 구현했다는 의미도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초개인화 시대를 맞아 피부상태에 대한 궁금증이 큰 잘파(z+α) 세대에게 과학적 기반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