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한국독성학회/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회장 최경철)는 2025년 8월 21일(목)~22일(금) 양일간 독성전문가 및 독성전문가 인증을 준비하는 분들, 향후 독성학 분야에서 활동할 뜻을 가진 후학들을 대상으로 전문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한다. 본 교육은 독성학 교재에 나오는 기본전문지식과 최근 국내·외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독성인자 등 산‧학‧연 국내 독성분야 발전을 위하여 이틀간 진행된다. 각 분야 최고의 전문가들로 진행될 본 교육 프로그램은 강의, 연구, 개발, GLP 교육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25년 독성학 전문교육과정 프로그램은 독성학 개론, 호흡(흡입)독성, 노출평가, 독성물질의 약동학, 신장독성, 면역독성, 화학물질에 의한 발암, 간독성, 독성병리, 첨단의약품의 비임상평가, 유전독성, 심혈관계독성, 차세대안전성평가법, 인체위해성평가의 총 14개 전문 강좌로 진행된다. (사)한국독성학회/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회장 최경철)는 식약처 산하의 독성학 관련 학술단체다. 이번 교육은 온라인 실시간 중계로 진행된다. 신청 기한은 8월 1일까지다. (신청 방법: 학회 홈페이지 www.ksot.or.kr 참조)
산업교육연구소는 오는 7월 11일(금, 09:50~17:10)에 “폐플라스틱 재활용/자원화를 위한 정책 및 기술개발과 활용 전략 세미나”를 온·오프라인 동시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폐플라스틱 자원화 관련 내용 및 가스화 공정 기술개발, 폐플라스틱 저온 해중합 신공정, 고효율 촉매 기술 개발, 플라즈마 활용 기술개발, 인공지능(AI)를 활용한 폐플라스틱 수거 등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발표가 진행될 예정이다. 이날 세미나 주제는 ▲ 정부의 폐플라스틱 재활용 활성화 방향과 지원 방안 및 주요 개정 내용 ▲ 폐플라스틱 가스화 공정 기술개발 동향과 새로운 접근 ▲ 순환경제를 위한 폐플라스틱 저온 해중합 신공정 기술개발과 활용 분야 및 사업화 ▲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기반 올레핀 제조 기술의 현황 및 고찰 ▲ 폐플라스틱 기반 수소 생산을 위한 고효율 촉매 기술개발과 경제성 ▲ 플라즈마 활용 폐플라스틱 화학적 재활용 기술개발과 활용 분야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폐플라스틱 수거ㆍ선별 기술개발과 사례 및 사업 다각화 전략 ▲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시장과 밸류체인 활성화 모색 방향 등이다. 최근 국제사회는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순환경제 전환을 핵심 의제로 삼고 있
북미 기반 글로벌 유통기업 ALC21 알렌 정 대표가 7월 15일(화) 오후 2~5시 무역협회 트레이드타워 51층 대회의실에서 ‘왜 서구권 바이어는 답장을 하지 않을까?’라는 제목으로 유통전략을 발표한다. 이번 세미나는 ‘상호관세 시대, 한국 무역의 활로와 미국/유럽 시장 진출 전략’을 주제로 한국무역협회와 한국무역신문이 공동 주최한다. 알렌 정 대표의 발표 내용은 ▲ 한국 소비재 기업이 알아야 할 서구권 오프라인 유통 진출의 실전 전략과 커뮤니케이션 방식 ▲ ALC21이 직접 뚫은 북미·유럽 유통망 구축 인큐베이팅 사례와 바이어 응답을 이끌어내는 전략 ▲ 북미와 유럽 현지계 바이어가 움직이는 진짜 이유, 그 심리와 구조 공개 ▲ ALC21의 유통 인큐베이팅 실전 사례로 배우는 서구권 리테일 진입 전략 ▲ Costco, Walmart, Rossmann, Douglas 등 대형 유통망 실제 입점 구조와 아마존 컨설팅, 베스트 셀러 및 성공 사례를 통해 본 유통 전략 등이다. 알렌 정 대표는 “북미·유럽 바이어들이 실제로 반응하는 구조는 우리가 알고 있는 상식과 다르다. 바이어가 우리를 선택하게 만드는 게 핵심이다. 이번 세미나에서 ➊ 바이어가 먼저 연락 오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