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아모레퍼시픽, K-뷰티 맏형 저력 증명... ‘25년 1분기 매출 17%↑영업이익 62%↑

‘글로벌 리밸런싱 전략’ 효과로 서구권 매출 규모 2배 증가, 중화권 흑자 전환

오늘(4월 30일) 아모레퍼시픽은 주식 개장 전 ‘’25년 1분기 경영 성과‘ 제목의 보도자료를 돌렸다. ‘25년 1분기 실적 공시를 통해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큰 폭 증가를 알렸다. 전날에 비해 시초가는 12만 7500원, 3.5% 상승했다. 기관의 매수세가 몰리며 최근 5일 연속 상승하며 누적 12%대 주가 증가율을 기록했다. 작년 하반기 이후 반등세를 이어가는 어닝 서프라이즈다. 

아모레퍼시픽은 매출 1조 675억원(+17.1%) 영업이익 1177억원(+62%)로 오랜만에 저력을 확인하며 올해 큰 폭 실적 상승을 예고했다. 

참고로 ‘24년 아모레퍼시픽의 매출은 상저하고(上底下高) 모양새다. 1분기 9115억원(-0.2%) → 2분기 9048억원(-4.3%) → 3분기 9772억원(+9.9%) → 4분기 1조1794억원(+15.9%)로 분기 매출액 1조원대 고지를 넘어섰다. 

이에 대해 아모레퍼시픽은 “국내사업은 주요 제품의 글로벌 캠페인 전개 및 다채로운 혁신 신제품 출시를 통해 MBS와 온라인 채널을 중심으로 선전했다. 이를 통해 전년 대비 2.4% 증가한 5,773억 원의 매출과 0.6% 증가한 494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해외 사업은 서구권에서 주요브랜드의 높은 성장세가 지속되며 전년 대비 40.5% 증가한 4,730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미주, EMEA, 기타 아시아지역의 매출 성장과 함께 코스알엑스 편입 효과 및 중화권 흑자전환 등 수익성 개선으로 영업이익도 120.5%나 증가했다.

지역별로 ▲ 미주지역은 브랜드와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 및 코스알엑스 편입 효과로 매출이 79% 증가 ▲ EMEA 지역 전체 매출이 3배 넘게 성장 ▲ 중화권의 흑자 전환 및 기타 아시아 지역의 매출 53% 성장 등 고루 증가했다. 

미주 지역은  라네즈가 MBS 채널 협업 마케팅 전개 및 로컬 기획 상품 운영 등을 통해 성장세를 주도했다. 중화권은 오프라인 채널 효율화로 전체 매출은 하락했으나, 플랫폼 거래구조 개선 및 비용 절감 효과로 흑자 전환했다. APAC에서는 라네즈, 에스트라, 헤라 등이 고객 접점을 확대하며 선전했고, 일본에서는 라네즈, 에스트라, 프리메라, 헤라 등이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며 크게 성장했다.

이로써 아모레퍼시픽홀딩스의 ‘25년 1분기 연결기준 매출은 1조 1648억원, 영업이익 1289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15.7%, 55.2% 각각 증가했다. 

아모레퍼시픽홀딩스는 “해외 사업의 높은 성장세에 힘입어 전체매출과 영업이익이 함께 증가했다. 지속하여 추진 중인 글로벌 리밸런싱 전략의 효과로 서구권의 매출 규모가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했으며, 중화권도 사업 효율화를 통해 흑자 전환했다”고 평가했다.  

전체적으로 브랜드 구조조정 결과로 수익성 확대, 유통채널 다변화, 미·일 등 주요 자회사 브랜드의 해외진출 성과 확산 등 다각적 노력이 결실을 맺고 있음을 증명했다. 




배너
배너
배너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