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영향으로 향후 화장품 소비 패턴이 저가격 위주의 가성비와 기능성화장품이 선택받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최근 코트라(KOTRA)는 각국의 무역주재관을 통해 2008년 금융위기와 코로나19 사태를 비교하고 국가별로 소비 습관 변화가 엿보인다고 전했다. #1 미국...가격인하·무료배송 서비스로 온라인 이동 가속화 미국은 코로나19 경기 전망이 긍정과 부정이 극명하게 갈린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불황은 금융위기보다 짧고 피해규모가 적을 것이며, 금융위기 때와 달리 시스템 위험이 존재하지 않아 하반기에 회복될 것(골드만삭스, 2020년 GDP 성장률 0.4%)이라는 긍정적 전망이 있다. 반면 미국 GDP의 70%를 차지하는 개인소비가 위축되고 생산활동이 중단되는 사태가 지속된다면 2분기 성장률이 –14%(모건스탠리), -30.1%(JP모건)으로 침체될 것이라는 부정적 전망도 제기된다. 이럴 경우 소매업·제조업·여행업계 등으로 피해범위가 광범위하게 퍼지며, 4월 일자리가 최대 200만개 사라진다고 추정한다. 소비 트렌드를 보면 소비자들은 가격이 좀 더 저렴한 제품 선호 추세가 증가했다. 금융위기 이후 2년간 소비패턴 분석을 보면 ▲저렴한 제품이 기대보다 만족
코로나19 영향이 통계치에 반영되려면 다소 시일이 필요하다. 또 전년 대비 또는 전월 대비 증감률을 표시하기에 현 시점에서 보면 다소 의외로 보일 수 있다. 코로나19는 1월 20일 이후부터 본격화해서 온라인 쇼핑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 어렵다. 때문에 1월 화장품의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코로나19로 화장품 판매액이 줄었다고 볼 수 없는 이유다. 1월 온라인쇼핑을 통한 화장품 거래액은 1조 1266억원이었다. 전년 대비 금액으로는 2282억원이 늘었으며 증가율은 +25.4%다. 통계청은 화장품의 경우 중국인 입국자 수 증가로 온라인 면세점에서의 거래 증가 영향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19년 12월(1조 1902억원) 대비 1월 화장품 온라인 거래액은 △5.3% 감소했다. 화장품의 모바일 거래액은 6571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15% 증가했다. 모바일 비중은 58.3%였다. 일단 화장품의 온라인거래액이 ’19년 8월(1조 378억원) 이래 6개월째 1조원대 월별 거래액을 기록 중이다. ‘19년 11월 1조2346억원 최고를 기록했으며, 이후 1조 1천억원대를 유지하며 호조다. 모바일 거래액도 ’19년 8월(6057억원) 이래 6개월째 월간 6천억원대 판매액을
온라인 면세점에서 중국 관광객 등의 거래 증가 영향으로 ‘19년 11월 화장품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32% 증가했다. 이에 따라 화장품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1조1964억원을 기록, 월간 최고액 경신을 이어갔다. 이중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6791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33.4% 증가했다. PC에서 모바일로 이동하며 그 비중도 56.8%에 달했다. 1월 2일 통계청은 작년 11월의 온라인쇼핑 동향을 발표했다.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12조 7576억원이었다. 전년 동월 대비 20.2% 증가했다. 화장품은 음식서비스의 100.3%에 이어 32%로 증가율 2위를 기록했다. 화장품의 월간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4월 첫 1조원 돌파 후 다소 떨어졌다가 8월부터 1조원대를 회복했다. 이어 10월에 1조 1563억원에 이어 2개월 연속 1조 1천억원대를 넘어서며 사상 최대 월간 기록 행진 중이다. 11월 +32% 증가율은 ‘19년 월별 최대 상승폭이었다. 또한 모바일쇼핑 거래액도 작년 8월 6046억원을 기록한 후 11월 6791억원으로 4개월 연속 6천억원대 행진을 이어갔다. 11월 화장품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월간 최고 기록이다. 통계청은 “중국 등 외국인 관광객 증가로 온
돈을 쓰는 만큼 버는 것이다. 더 많이 쓰게 되면 더 많이 벌게 된다. 어쩌면 참 위험한 생각일 수도 있습니다. 보통 사람들을 만나고 관계를 맺을 때 주로 돈을 쓰는 편입니다. 누군가와 처음 만나서 관계를 맺거나 고객을 마주할 때도 먼저 커피를 사거나 식사를 제공합니다. 자주 가는 음식점에서나 다른 어떤 서비스를 받았을 때에도 평소 팁을 후하게 주는 편입니다. 그런 쪽에 경험을 겪어봐서 팁을 받는 입장을 잘 알고 있다는 부분도 있겠지요. 다만 어렸을 때 그런 경험 속에서 팁이야말로 따지고 보면 큰 액수가 아니면서 사람의 마음을 살 수 있는 아주 착한 투자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보통 그런 경우 상대방은 반드시 내가 쓴 것보다 더 큰 보답을 합니다. 음식점을 예로 들면, 다음에 재방문했을 때 기억하고 반찬 하나라도 더 챙겨준다거나, 추후 고객을 모시고 갈 때 알아보고 더 많은 신경을 써주겠죠. 그들은 돈을 떠나서 자신의 가치를 알아주고 존중을 해준다면 더 큰 보답을 하고 싶어 합니다. 대우 받고 싶다면 먼저 베풀어야 하고 관계를 맺고 싶다면 그들을 먼저 인정해 줘야 합니다. 대다수 사람이 상대가 잘해줘야 다음에 반응합니다. 만일 먼저 베풀고 인정해 주기 때문에
화장품의 10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1조1468억원으로 월간 최고액을 기록했다. 지난 3월 1조198억원으로 최초로 1조원대를 기록한 후 주춤하다. 이후 8~10월 연속 3개월 간 1조원대 신기록 행진 중이다. 모바일쇼핑 거래액도 지난 3월 6천억원을 돌파한 이후 주춤하다 8~10월 3개월 연속 6천억대를 상회하고 있다. 10월 화장품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전년 동월 대비 +28.2%, 금액으로는 2523억원 증가했다.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6488억원으로 +31.5% 늘었다. 화장품의 온라인쇼핑 거래액 중 모바일쇼핑 거래액 비중은 56.6%로 전년 동월 대비 1.4% 증가했다. 통계청은 “화장품의 경우 중국 등 외국인 관광객 증가로 온라인 면세점 거래 증가 영향”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유통채널별로는 종합몰이 1조157억원으로, 전문몰 907억원을 압도했다. 종합몰은 각종 상품군의 카테고리를 다양하게 구성하여 여러 종류의 상품을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쇼핑몰울 말한다. 전문몰은 하나 혹은 주된 특정 카테고리 상품군만을 판매한다.
스마트폰의 확대는 일상의 삶을 변화시키고 있다. 트위팅, 스카이핑, 스냅채팅, 인스타그래밍과 페이스타이밍 등의 표현은 ICT 기업 브랜드가 동사로 쓰이는 예다. 온라인이 삶 속에 깊은 영향을 주는 것이다. ’온라이프(onlife) 시대‘의 등장이다. 온라이프 시대는 인터넷이나 도구로 연결된 상태로 끝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을 통해 사람과 사람이 연결되고 더 나아가 사회적 욕구가 모이는 그곳에 즉각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온라인 → 온라이프 시대로의 변화는 유통환경의 변화도 재촉하고 있다. #8 온라이프 2012년 EU집행위원회는 ‘온라이프 선언문’을 채택했다. “온라인과 일상적인 삶의 차이가 점점 희미해져서 마침내는 두 영역의 구분이 사라지게 된다. 앞으로 이곳(아날로그, 오프라인)과 저곳(디지털, 온라인)이 합쳐져서 하나의 온라이프 체험을 만들어내게 된다”고 선언했다. 즉 온라인→온라이프로 변하면서 향후 10년 내 온라이프 리테일(onlife retail)로 새로운 질서가 형성된다는 전망이다. 아모레퍼시픽 서경배 회장은 일찍이 “5년여 전 많은 이들이 오프라인 쇼핑 시장의 쇠락을 예견했다. 그런대 이제는 온라인 쇼핑 시장이 그렇게 될 것으로 예상한
화장품의 9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1조 957억원을 기록, 역대 최고액을 경신했다. 8월에 이어 2개월 연속 1조원대 행진을 이어갔다. 올해 3월 처음으로 1조 198억원을 기록한 바 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2465억원 증가한 금액이며, 증가율은 29.0%였다. 모바일 쇼핑거래액은 6171억원으로 월별 사상 최고액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35.2% 증가한 수치다. 온라인쇼핑 거래액 중 모바일 비중은 56.3%로 전월에 비해서는 2.2% 감소했다. 통계청은 “화장품은 중국 등 외국인 관광객 증가로 온라인 면세점 등 거래 증가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중국인 입국자 수는 1~9월 355만 6543명. 이 추세라면 ‘19년의 중국인 관광객 수는 ’14년(477만명) 수준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역대 최고치는 ’16년 695만명) 한편 3분기 해외 온라인 직접판매액은 1조 5156억원인데 이중 화장품이 1조 2737억원으로 84%를 차지했다. 또 화장품의 면세점 판매액은 1조 2392억원으로, 이는 면세점 판매액의 92.7%에 해당된다. 면세점 판매액의 95%는 중국인이 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3분기 해외 직구로 사들인 화장품은 448억원이었다.
#5 중국·미국, 플랫폼 독점 강화 중국과 미국은 플랫폼이 리테일을 압도하고 있다. 중국은 전체 소매시장(38.1조위안)에서 온라인 거래(8조위안)가 21.0%에 달한다. 알리페이, 위챗페이 등 모바일 결제시스템이 2017년 이후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오프라인→모바일의 생태계가 만들어졌다. 미디어 커머스가 성장하며, 입점브랜드가 상품을 올리면 중간판매자들이 상품을 선택해서 자신의 회원, 지인에게 상품을 판매하는 S2B2C 모델이 등장했다. 이로 인해 왕홍경제가 활성화됐고 온라인 마케팅이 확대됐다. 중국 상위 10개 온라인 거래업체 중 알리바바의 점유율이 58.2%, JD.com 16.3%, Pinduoduo 5.2% 순이다.(Statista, 2018) ’소매업의 종말‘(retail apocalypse) 현상이 두드러진 미국의 경우 2017년에만 662개의 유통 브랜드가 파산했다. 전체 소매시장에서 온라인 거래의 비중이 높아지고 매출액의 성장세가 뚜렷하다. 온라인 거래를 통한 전체 소매 판매액의 약 50%가 아마존의 매출이다. 아마존은 전 세계 유통업체 중 매출액 기준으로 6위이며, 상위 10개 업체 중 가장 높은 매출액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