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부터 시작된 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화장품의 온라인쇼핑 발목을 잡았다. 9월 3일 통계청의 ‘7월 온라인쇼핑 동향’에 따르면 화장품 온라인 거래액은 9820억원으로 전년 대비 2.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월(6월)에 비해서도 5.5% 감소함에 따라 4개월째 이어지던 1조 원대 거래액이 무너졌다. 코로나 이전(‘19. 7월 9865억원)에 비해서도 0.5% 감소함에 따라 화장품의 온라인 마케팅이 이렇다 할 반전을 이루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은 문화 및 레저서비스(-11%)와 함께 감소한 2대 품목이다. 도쿄올림픽 개최,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급증한 배달음식, 즉석식품 등은 그렇다 쳐도 의복, 가구, 스포츠·레저용품, 서적, 여행 및 교통서비스, 패션용품 및 액세서리 등 코로나로 어려움을 겪는 업종이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에 비하면 아쉬운 수치다. 화장품 온라인쇼핑은 1분기 –2.4%, 2분기 12.4%를 기록 중이다. 3월부터 반짝 회복되던 화장품 온라인 소비가 7월 하락세로 돌아서며 업계의 우려를 낳고 있다. 10월 백신 접종률 70%를 달성해도 델타에 이어 뮤 변이 등이 등장함에 따라 올해 화장품 소비 회복도 장담할 수 없게 됐
화장품의 6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1조386억원을 기록하며 코로나19 이전(‘19)의 회복세를 4개월째 이어갔다. 3월 이후 1조원대 기록을 5개월째 유지 중이다. 하지만 전월(5월)에 비해서는 10.3% 감소, 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4일 통계청의 ‘6월 온라인쇼핑 동향’에 따르면 화장품은 전년 대비 5.7% 증가했다.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5424억원(+30.7%)으로 ‘19년(5697억원)을 하회하며 뷰티 앱을 통한 매출 회복세는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상반기 화장품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6조3095억원(+4.6%),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3조1628억원(+8.5%)을 각각 기록했다.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코로나19 이전(’19)에 비해 9.3% 감소함에 따라 본격 회복세와는 아직 거리가 있다. 한편 2분기 온라인 해외 직접 판매액은 1조 2038억원(-6.3%)이었다. 코로나19 이전(‘19)에 비해서는 5.5% 감소한 수치다. 이중 면세점을 통한 판매액은 9744억원이었다. 코로나19의 4차 대유행 및 중국의 자국내 면세점 확대 정책으로 인해 향후 전망은 불투명하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품목별로는 화장품이 9856억원
미국과 중국의 이커머스 시장은 같은 듯 다르고, 다른 듯 같다. 코로나19 이후 유통트렌드로 미국은 D2C가, 중국은 C2M이 주목받고 있다. 이커머스 시장에서 미국은 아마존, 중국은 알리바바가 압도적 1위. 그런데 쇼피파이(shopify)와 핀둬둬(拼多多)가 양강의 독점 구도를 깨뜨리며 공룡에 도전하고 있어 화제다. D2C는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모델로 ‘20년 매출 규모는 180억달러로 추산된다.(’21년 210억달러 전망) 미국 소비자들은 가격에 민감하고 가성비를 고려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또 건강과 안전에 높은 관심을 보이며, stay at home 제품이 인기다. 코트라 뉴욕무역관은 “코로나19 영향으로 온라인을 기반으로 한 D2C 시장이 확대 중”이라고 전했다. D2C 시장의 강자는 아마존(연 매출 3500억달러). 이를 추격하는 쇼피파이는 온라인 쇼핑몰 개설 및 운영을 위한 기획·마케팅·주문처리·결제 등의 솔루션을 제공한다. 최근 구글과 반아마존 연합을 구축하며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그 결과 2020년 쇼피파이 이용 판매자들의 거래액은 1190억 달러로 전년 대비 96% 증가했다. 월마트·이베이를 제치고 아마존에 이은 미국 이커머스 분야
화장품의 5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1조 1583억원으로 3개월째 2019년 수준을 넘어서며 완연한 회복세다. 이로써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20년 3월 이후 1년 만에 화장품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기저효과를 벗어나 정상화 수준으로 들어서는 모양새다. 이는 2월부터 화장품의 오프라인 판매액이 플러스로 전환하면서 3월부터 온+오프라인 화장품 판매액이 플러스로 동반 성장했음을 보여준다.(대한상의, 유통인사이트 ’21. 1분기 동향) 다만 1분기 오프라인 판매액은 전년 대비 –3.8%에 그쳤다. 2분기 오프라인 판매액도 플러스 반등이 확실하다. 6일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온라인쇼핑 동향에 따르면 화장품의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전년 동월 대비 2253억원이 증가(+24.1%)하며 증가액 상위 5위 품목으로 올라섰다. 2월에 꼴찌(-1480억원, -14.1%)로 추락한 지 3개월 만에 증감률이 플러스로 반등한 것이다. 특히 모바일쇼핑 거래액도 5635억원(+37.2%)으로 3개월째 증가세다. ‘20년 3월~’21년 2월까지의 마이너스에서 벗어나며 본격적인 회복세다. 전체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16조 594억원으로 전년 대비 26%로 증가하는 등 소비회복세가 완연하다. 백
4월 화장품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1조 323억원(+7.5%)으로 2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기저효과 외에 코로나19 이전인 ’19년 4월(9617억원) 거래액을 넘어섬에 따라 본격적인 수요 회복 기대감을 높였다. 화장품의 모바일쇼핑 거래액도 5290억원(+44.8%)으로 두 자릿수 성장했다. 이는 전체 상품군 중에서 4위에 해당하는 높은 증가율이다.(문화 및 레저서비스 171.2%, 음식서비스 62.1%, 여행 및 교통서비스 51.5%) 즉 코로나19 영향으로 외출 자제, 비대면 소비에서 상대적으로 타격을 입었던 상품군이 반등으로 돌아서며 큰 폭 상승했음을 보여준다. 특히 화장품의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20년 3월부터 12개월 연속 감소세에서 지난 3월 15.2% 플러스로 돌아서며 내수 침체 탈출을 알렸다. 이에 따라 온라인쇼핑 거래액 중 모바일쇼핑 거래액 비중이 화장품의 경우 13.1%p 상승했다.[38.1%(‘20. 4월)→51.2%(’21. 4월)] 3월(50.3%)에 비해서도 0.9%p 증가하는 등 완만한 증가세다. 향후 코로나19 이전 60.2%(‘19. 4월)까지 반등해야 코로나 이전 수준 소비 회복단계에 들어서리라는 분석이다. 기업들의 1분기
3월 화장품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1조 500억원을 기록 전년 대비 7.0% 증가, 이중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5183억원(+15.2%) 증가했다. 이로써 1분기 화장품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3조 341억원, 전년 대비 3.8% 감소했다.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1조 4827억원으로 14% 감소한 수치다. 일시적 증가세로 나타났지만 코로나19 타격이 본격화된 작년 기저효과 때문으로 보인다. 1분기 전체 매출액 감소 추세가 이어지고 있어 화장품 불황의 골은 깊어지고 있음이 뚜렷하다. 화장품업계가 이렇다 할 반전을 마련하지 않는 한 백신접종으로 인한 집단면역이 형성되기 전 올해 내내 고전이 예상된다. 다만 전반적인 경기 회복 훈풍이 불고 있어 화장품까지 확대될지 기대된다. 이를 타개하고자 브랜드사들의 ‘라이브 커머스’가 크게 증가했다. 코리아나화장품, 더샘, 끌레드벨, 랑콤, 아이소이, 토니모리 등이 라이브 방송을 통해 제품을 판매하는 등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LG생활건강은 ‘라이브커머스’ 전문 인플루언서 양성을 통해 활성화를 추진 중이다. 중국은 왕홍, 셀럽, 인플루언서를 통한 라이브 커머스 활성화로 화장품 소비 회복을 주도하고 있다. 국가통계국 조사에 따르면 중
중국은 소비 페스티벌이 1년 내내 진행되는 쇼핑 천국. 크게 ①역사·문화 테마별 마케팅 데이와 ②주요 플랫폼이 주도하는 종합 마케팅 데이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 때문에 온라인 채널을 통해 중국 진출을 노리는 기업에게 기회라는 분석이다. 무역협회가 펴낸 ‘중국의 소비 페스티벌과 우리 기업의 활용전략’은 소비 페스티벌의 성격과 규모, 참여기업, 판매품목 등을 분석했다. 이를 겨냥해 ▲연간 활용계획 ▲문화 내재화 ▲지역 특성 타깃팅 ▲부모 소비자 겨냥 ▲궈차오(国潮) 등 5대 전략을 통해 대중국 소비자 마케팅과 유통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조언을 담았다. 테마별 마케팅 데이로는 12개가 꼽힌다. 이중 춘절맞이 프로모션인 ‘연화절(年货节, 음력 1월 1일)’, 3월 8일 여성의 날에서 기인한 ‘여왕절(女王节/女神节)’이 대표적인 명절·기념일이다. 이날은 소비자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행사로 기획·운영된다. 종합형 마케팅 데이는 알리바바의 주도의 ‘광군제(11월 11일)’, 징동 주도의 ‘618(6월 18일)’이 대표적이다. 이런 소비 페스티벌은 중국 명절·기념일 문화와 의미,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주도하는 페스티벌의 고유 콘셉트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그래야 적극적이고
에뛰드는 11번가와 업무 협약을 통해 뷰티이커머스 시장을 선도하는 공동 마케팅을 추진한다. 최근 에뛰드 권오창 영업사업부장과 11번가 김명식 담당은 업무제휴협약(JBP- Joint Business Plan)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에뛰드는 지난해 11번가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전년 대비 거래액이 174% 상승하는 성과를 이뤘으며, 2021년에도 다양한 상품과 트렌디한 쇼핑 콘텐츠를 고객에게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협약 연장을 통해 에뛰드는 11번가의 축적된 쇼핑 데이터와 에뛰드의 상품 포트폴리오 분석을 기반으로 연 3회의 11번가 전용 제품을 제작한다. 또 라이브 방송으로 고객들과 실시간 소통을 강화하며, 월간 십일절, 선물하기, 오늘배송 등 다양한 마케팅 툴로 편리한 쇼핑 경험을 제공하게 된다. 에뛰드 관계자는 “메이크업 브랜드로 오래 사랑받아온 에뛰드의 제품력과 11번가의 이커머스 리더십의 시너지로 더욱 새로운 마케팅과 콘텐츠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