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티&헬스 전문 기업 코리아테크(대표 이동열)가 6월 10일 GS홈쇼핑 최유리 쇼호스트와 함께 싸이(PSY)의 얼굴 근육 운동기구 ‘페이셜 피트니스 파오(PAO)’ 론칭 방송을 진행한다. 이번 ‘파오’ 론칭 방송은 최 쇼호스트가 메인 진행자로 나선다. 최유리는 2013년부터 6년째 쇼호스트로 맹활약 중이다. 지난 2016년부터는 GS홈쇼핑에서 ‘뷰티’를 중심으로 다양한 미용제품을 선보이는 뷰티 부문 간판 쇼호스트다. 그는 방송 전 제품을 직접 사용하는 쇼호스트로 알려져 있다. 이번 론칭 방송을 위해 파오 제품을 직접 두 달 이상 꾸준히 사용했다.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코리아테크 본사에 마련된 ‘스마트케마’ 센터를 세 차례 방문하기도 했다. 코리아테크 관계자에 따르면 “최유리 쇼호스트가 파오 제품 사용 이후 육안으로 느껴지는 변화를 자신의 SNS 계정에 업로드하며 각별한 애정을 드러내기도 했다”고 밝혔다. 파오 론칭 방송에서 최유리는 육안상 변화와 더불어 얼굴 턱선 각도가 올라가고 길이는 짧아지는 등 초음파 측정을 통해 얼굴이 작아진 변화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다. 최유리 쇼호스트는 “직접 써보고 효과를 느껴야 소비자들에게 자신 있게 소개할 수 있다”며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 화장품 면세사업자 선정에 높은 입찰가를 제시한 신세계DF(신세계면세점)의 우세가 점쳐진다. 업계는 22일 관세청 자체심사에서 호텔신라(신라면세점)의 뒤집기가 성공할지 유심히 지켜보고 있다. 인천공항공사는 5월 23일 면세사업자 재입찰을 시작했고 1일 제1여객터미널 DF1(화장품·향수+탑승동)과 DF5(패션·잡화)의 중복 우선협상자로 신라면세점, 신세계면세점을 선정했다. 최종 관문은 인천공항공사가 우선협상자를 통보한 관세청만 남았다. 이미 신세계면세점은 가격점수에서 유리한 고지에 오른 상태다. 관세청은 DF1과 DF5 구역의 최종 면세사업자 선정을 1000점 만점 기준으로 평가한다. 500점은 관세청 자체심사에 배정됐다. 나머지 인천공항공사 평가를 반영한 500점 중 입찰가격 400점, 사업제안심사 100점으로 나뉘는데 입찰가격 비율이 유독 높다. 신세계는 1000점 중 40%에 해당하는 가격점수에서 크게 이득을 본 것으로 분석됐다. 현재 신세계면세점과 신라면세점이 제시한 DF1 구역의 입찰가는 각각 2762억원, 2202억원. 560억원이 차이 난다. DF5는 신세계가 608억원, 신라가 496억원 써냈다. 112억원의 격차다. 업계
인천공항공사가 “롯데면세점 탈락 이유는 프레젠테이션 점수가 최하점을 기록했기 때문”이라고 공식 입장을 밝힘에 따라 공사와 롯데 양측의 치열한 진실 공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양측의 충돌은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 면세사업권 재입찰 결과가 발표된 이달 1일 시작됐다. 롯데면세점은 우선협상자에서 탈락하자 입찰 과정의 공정성 문제를 제기했다. 입찰 가격을 가장 높게 쓴 롯데는 “이번 결과에 승복할 수 없다”며 소송은 물론 공정위와 감사원 고발까지 검토 중으로 알려졌다. 그러자 인천공항공사는 4일 롯데의 ‘입찰 공정성 의혹 지적’에 대해 정면으로 받아쳤다. “입찰에 참여한 4개 회사 중 롯데면세점의 사업제안서 평가가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것이 탈락 이유”라고 해명한 것. 이어 “일부 언론사가 참가사들의 입찰 제안서 평가에 공정성을 지적했다. 그러나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엄격히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인천공항공사의 주장은 롯데가 사업제안서 준비에 소홀했다는 것이다. 인천공항공사는 “롯데가 DF1(화장품·향수+탑승동)과 DF5(패션·잡화)의 입찰 가격이 가장 높은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반면 매장 운영계획, 디자인 등 사업제안서의 대부분 항목에서 두드러진 게 없었다.
호텔롯데가 “입찰 결과에 승복할 수 없다”며 제1여객터미널(T1) 재입찰 공정성 문제로 인천공항공사에 소송을 검토 중이다. 인천공항공사가 1일 밝힌 T1 DF1/DF5 복수 우선협상자는 호텔신라와 신세계DF다. 입찰에 참여한 4개 면세점 중 롯데는 최고가를 내놨으나 우선협상자 2개소에 포함되지 않았다. 롯데면세점 관계자는 “입찰가가 최고였는데도 우선협상자에서 밀려났다는 것은 정성평가(사업계획안)점수가 형편없다는 것 아니냐”며 “수십 년간 업계 1위를 수성한 롯데면세점의 캐리어와 노하우가 담긴 사업계획안이 저평가됐다는 것은 더 믿을 수 없다. 누가 봐도 조기철수에 대한 보복성 조치 아니겠냐”고 지적했다. 이번 재입찰 구역은 2월 롯데면세점이 면세사업권을 포기한 T1 동편의 DF1/DF5/DF8 구역. 화장품·향수(DF1)와 탑승동(DF8)을 DF1으로 묶었고 DF1과 DF5(패션·잡화) 두 구역을 4개 입찰 참가사 모두 5월 23일 복수 신청했다. 다음날 24일 4개 입찰 참가사는 각각 입찰가를 제출했다. 인천공항공사가 제시한 구역별 최저수용금액은 DF1 1601억원, DF5 406억원이다. 이때 롯데면세점은 DF1 2805억원, DF5 688억원으로 4개 참
라네즈가 트렌디함과 재미를 담은 공간인 이대 플래그십 스토어를 신규 오픈했다. 또 ‘마이 립 슬리핑 마스크’ 서비스를 새롭게 선보인다. 라네즈는 이화여대 부근에 즐거움이 가득한 ‘L-Playground’(서대문구 이화여대길 12)를 콘셉트로 플래그십 스토어를 신규 오픈했다. 재미있고 직관적이며 예상치 못한 요소들을 공간 곳곳에 녹였다. 고객이 트렌디하고 다이나믹한 공간을 체험할 수 있도록 디자인한 것. 총 3층인 이대플레그십 스토어의 1층은 라네즈 베스트셀러 슬리핑 마스크를 체험할 수 있는 '슬리핑 뷰티 존', 라네즈만의 워터 레시피를 만나볼 수 있는 '스킨케어존' 등으로 구성됐다. 라네즈의 트렌디한 메이크업 룩을 경험할 수 있는 ‘LANEIGE Studio’에서는 시즌별 라네즈 룩을 디지털 영상으로 볼 수 있다.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앱 '뷰티미러'를 통해 직접 메이크업을 받은 듯 체험이 가능하다. 또 ‘라네즈 기프트 박스 자판기’도 신선하다. 제품 구매 시 받을 수 있는 코인으로 원하는 샘플을 자유롭게 선택하면 된다. 2층에는 인터랙티브한 컬러풀 조명과 미러볼, 음악 등을 경험할 수 있는 암실 ‘크레이지 컬렉션’으로 꾸몄다. 엉뚱하고 재미있는 공간이다. 3
“인천공항 면세점의 화장품 판매. 신라면세점이 싹쓸이할까?”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 면세점 화장품·향수(DF1) 구역의 주인을 가리는 프리젠테이션이 30일 오후 5시경 끝난다. 초미의 관심사는 DF1의 면세사업권을 ‘누가’ 가져가느냐다. 신라면세점이 이 구역을 낙점받으면 인천공항 면세점에서 화장품 판매의 90% 이상 거머쥐게 된다. 인천공항에서 화장품의 패권을 차지하는 셈이다. 올해 1월 7일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따르면 2017년 인천공항 면세점 매출은 21억달러(약 2조3313억원)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고, 이중 화장품·향수 매출은 7억7400달러(38%)로 가장 많이 팔렸다. 인천공항 면세점 총 매출의 30% 이상을 신라면세점이 화장품으로 거둬간다는 의미다. 사실상 신라면세점의 화장품 독점이다. 특히 국내 면세점 순위의 판도 변화까지 예측된다. 이번 재입찰에서 DF1에 이어 DF5까지 신라면세점이 중복 사업자로 선정되면 국내 면세점의 1위 탈환도 가능할 전망이다. 지난해 말 면세점 시장 점유율은 롯데 41.9%, 신라 23.9%, 신세계 12.7%로 집계됐다. 재입찰 대상인 DF1과 DF5 2개 구역은 국내 면세점 시장의 7~8%에 달한다. 롯데와 신라의
2017년 외국인 관광객이 가장 많이 사용한 온라인 할인쿠폰은 '화장품'으로 밝혀졌다. 30일 한국방문위원회(위원장 박삼구)에 따르면 작년 한 해 동안 K-뷰티의 인기에 힘입은 뷰티 업종 쿠폰 이용률이 45%로 가장 높았다. 이어 푸드(20%)→엔터테인먼트(19%)→쇼핑센터(8%)→통신 및 숙박 등 기타(8%) 순이었다. 한국방문위원회(www.vkc.or.kr) 공식 홈페이지에서 외국인 관광객들이 발행받은 10만여 건의 온라인 할인 쿠폰 이용 실적을 분석한 결과다. 뷰티 관련 할인쿠폰 중 로드숍의 할인 쿠폰을 선호하고 있었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원브랜드숍인 미샤의 쿠폰 이용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오설록 티하우스→쁘띠프랑스→롯데면세점→바닐라코가 뒤를 이었다. 언어로는 영어가 51%로 가장 높았고 중문 40%, 일문 7% 순이다. 한국방문위원회 관계자는 “온라인 할인쿠폰 서비스의 주요 혜택과 참여업체에 대한 해외 온라인 광고를 통해 참여업체의 매출 증대로 이어질 수 있도록 협력할 것”이라며 “외국인 관광객의 트렌드에 맞는 신규 업체를 발굴해 쇼핑 관광 만족도를 높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외국인 관광객 대상의 온라인 할인쿠폰 서비스 제공에 참여를 원하는
아모레퍼시픽의 편집숍 ‘아리따움’이 강남 플래그숍 스토어의 리뉴얼 프로젝트에서 타 브랜드 취급을 결정한 배경은 무엇일까? 첫째 타깃이다. 밀레니얼 세대의 니즈에 주목하고 있다. 둘째 트렌디한 영 채널로의 자리매김이다. 아리따움의 변신은 10년 주기의 화장품 유통 주도권 다툼의 연장 의미도 있지만 타깃층과 해외 유통환경 변화와도 연관이 있다. 미국 퓨리서치는 2018년 3월, 밀레니얼 세대를 1981~96년 태어난 인구라고 정의했다. 모바일 기기 발달과 함께 인터넷과 소셜미디어 성장 시기를 겪은 세대다. 소비 주체로서 밀레니얼 세대의 등장은 한국·중국·미국 등 세계적 현상이다. 한국의 밀레니얼은 디지털 시대 시작과 함께 성장해 인터넷 미디어 이용률 및 소셜미디어 이용은 타 세대를 압도한다. 특히 여성의 경우 최대 관심사는 ‘외모’로 4분의 1이상이 꼽았다. 소비 가치관도 남성은 자신의 행복을 위한 욜로(YOLO) 라이프를, 여성은 계획적이고 꼼꼼한 소비를 추구한다. 그 유형은 △할인 혜택 따지기 △쇼핑이 생활의 즐거움 △매장에서 제품 관찰 후 인터넷 구매 △해외 직구 선호 등이다. 또 제품 이미지가 강조된 광고를 클릭하며 재미+유머를 선호한다.(한국방송광고진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