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생활건강의 메이크업 브랜드 VDL이 피부톤 보정 및 잡티 커버 파운데이션 ‘커버 스테인 퍼펙팅 파운데이션’을 선보였다. 파운데이션의 특징인 피부 결점의 확실한 커버와 자연스러운 피부 밀착으로 가까이에서 보아도 무결점 피부를 연출해준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 공기처럼 가벼운 ‘에어 포어 파우더(air pore powder)'를 적용, 기존 대비 무게감은 줄이고 매끈하게 발린다. 바르는 순간 얇게 세팅되는 화장막이 피부 굴곡이나 요철에 촘촘하게 밀착되며 오랜 시간 무너짐 없는 메이크업 지속력도 장점이다. 여기에 최신 트렌드인 가벼우면서 내추럴한 메이크업을 표현한다. 13호부터 23호까지 다양한 피부톤 밝기로 구성됐다. 즉 △밝고 환한 ‘밀크 베이지 컬러’ △핑크 미디엄 톤의 ‘애프리콧컬러’ △옐로우톤의 ‘바닐라 컬러’ 등 7가지 셰이드로 자연스러운 베이스 메이크업을 보여준다. 또한 촉촉한 고분자 보습 성분 및 허브 추출물 4종(쐐기풀잎, 레이디스맨틀잎, 쇠뜨기잎, 별꽃)이 함유돼 피부에 촉촉한 수분감을 채워준다. 동물성 성분도 배제했다. VDL 브랜드 관계자는 ”이번에 출시한 신제품 ‘커버 스테인 퍼펙팅 파운데이션’은 얇고 가볍지만 피부에 완벽하게 밀착돼 무결
프리미엄 기능성 뷰티 브랜드 라네즈가 안티에이징 ‘퍼펙트 리뉴 3×시그니처 세럼’을 선보였다. ‘3×시그니처’란 표기에서 보듯 주름·탄력·광채의 세럼을 진공 용기에 각각 분리해 담은 게 특징. 이는 성분의 안정도를 높이고 제품을 피부 층층이 흡수해 표적 안티에이징이 가능하도록 정교하게 설계했다는 설명이다. 주름 세럼은 한 방울에 250만개의 레티놀 미세 캡슐이 함유됐으며 피부 표층 구간에 작용한다. 탄력 세럼은 21.5%의 고함량 콜라겐 펩타이드 콤플렉스가 함유돼, 피부 중간층의 탄력을 향상시킨다. 광채 세럼은 초저분자 레드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함유해 피부 안층까지 흡수되어 속광채 개선 효과를 선사한다. 이렇게 3종 세럼의 시너지 효과로 4주만에 주름 48% 감소, 탄력 58% 개선, 광채 66% 증가 등 임상시험 결과를 얻었다는 설명이다. (글로벌의학연구센터, 여성 31명, 자가스코어링 결과)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29년간의 안티에이징 연구를 적용해 세럼 하나로 대표 피부노화 고민 3가지를 동시에 해결하는 혁신적인 제품”이라고 강조했다. 강력한 안티에이징 성분을 함유한 고효능 제품이지만 pH5.7 약산성 구조 설계로 자극이 적다고 덧붙였다. ‘라네즈 퍼
LG생활건강은 치아미백제로 과산화수소 대신 식약처 인정 새로운 미백 유효성분인 'SHMP'를 사용한 ‘클라이덴 더본 화이트닝 프리미엄 치약’ 2종을 8일 선보였다. 이 신제품은 LG생활건강이 3년간 연구를 통해 개발된 신개념 치아미백 유효성분 SHMP를 사용한 국내 최초의 치약이다. SHMP가 치아 표면의 착색물질을 밀어내 제거한 후 치아 표면에 흡착해 추가로 들어오는 착색물질을 막아낸다는 설명이다. 임상을 통해 미백효과를 확인했으며 효력시험을 통해 착색에방효과도 검증받았다. 페리오 마케팅 관계자는 “하루 3번 양치만으로 단 1주일만에 치아 색상 기준표인 비타쉐이드 기준 1.4단계, 2주만에 1.9단계 밝아지는 미백 효과를 경험할 수 있다”고 대한구강보건협회 의뢰 시험결과(59명)를 소개했다. ‘클라이덴 더본 화이트닝 프리미엄 치약’은 데일리케어용인 화이트와 집중케어용 블랙 2종으로 구분돼 소비자가 기호에 맞춰 구매할 수 있다. 수분감이 덜한 쫀쫀한 제형으로 뽀드득한 사용감과 개운한 양치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제품 상자에 포함된 16단계 치아색상 기준표를 분리해 사용효과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했다. 또한 불소 1000㏙을 함유해 충치 예방효과와 함께
LG생활건강은 올해 설을 맞아 브랜드별 베스트셀러로 구성한 선물세트를 판매한다고 밝혔다. 다양한 브랜드의 기능성과 목적별 맞춤형 가격대로 감사의 마음을 아름답게 전할 수 있다고 관계자는 설명했다. 브랜드별로 ▲궁중럭셔리 브랜드 ‘후 비첩 로얄 안티에이징 듀오 세트’ (22.5만원대) ▲민감 피부를 위한 뷰티 리추얼 ‘숨37° 로시크숨마 엘릭서 에센스 스페셜 기획’ (16만원대) ▲눈가를 밝히는 순수한 빛의 서막, ‘오휘 더 퍼스트 아이크림 판타지컬 컬렉션’ (22만원대) ▲탄력을 잃은 피부를 위한 토탈 안티에이징 케어 ‘빌리프 유쓰 크리에이터-에이지 넉다운 밤 스페셜 세트’ (7.5만원대) ▲재조합 태반 핵심성분이 선사하는 프리미엄 안티에이징 스킨케어의 정수 ‘이자녹스 테르비나 AD3종 스페셜 세트’(21.5만원대) ▲진귀한 천삼의 성분을 담아 피부에 활력을 선사하는 럭셔리 안티에이징 에디션 ‘수려한 천삼 럭셔리 4종 스페셜 에디션’ (20만원대) ▲깊은 영양감으로 피부의 격을 높여주는 토탈 안티에이징 ‘예화담 환생고 보윤 크림 품격 세트 자개 에디션’ (7만원대) ▲민감한 피부의 진정케어를 돕는 ‘닥터벨머 어드밴스드 시카 기초 2종 세트’(5만원대) ▲포근
한국의 이로움으로 균형 잡힌 아름다움을 전하는 클린뷰티 브랜드 한율이 2003년 계묘년 검은 토끼의 해를 맞아 ‘한율 오복 컬렉션’ 세트를 선보였다. 브랜드의 대표 제품을 ▲촉촉한 복 ‘빨간쌀’ ▲진정한 복 ‘어린쑥’ ▲환하게 밝히는 복 ‘달빛유자’ ▲차오르는 복 ‘힘찬콩’ ▲꽉 잡은 복 ‘부들밤’ 등을 다섯 가지 복(福)으로 소개하며, 각각의 화장품 세트로 구성했다. 자연 원료의 이로움으로 건강한 피부 균형을 전달한다는 메시지를 담았다고 관계자는 전했다. 제품 패키지에는 한국 전통 매듭 기법인 도래매듭을 다섯 번 지어 만든 ‘도래매듭 참’을 달아오복의 기운을 전달한다는 의미를 담았다. ‘도래매듭 참’은 패키지에서 분리해 가방이나 소지품에 매달아 연출할 수 있도록 제작해 소장 및 선물 가치를 높였다. 동봉된 내지를 통해 행운 추첨 이벤트도 진행한다.
국내 화장품 기술수준이 4년 전보다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일 1일 피부과학응용소재 선도기술개발사업단(단장 황재성)이 발표한 ‘2022 한국 화장품 기술수준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최고기술 보유국 대비 86.7%(‘18)→86.1%(‘22)로 0.7%p 하락, 기술격차는 2.4년(’18)→2.1년(‘22) 단축됐다. 사업단은 “기술수준과 기술격차에 약간의 변화는 있었으나, 선진국에 뒤지지 않고 꾸준히 추격을 계속하며 기술수준과 격차를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앞선 2007년, 2014년을 포함하면 국내 화장품 기술수준은 67.4%(‘07)→80.1%(’14)→86.8%(‘18)→86.1%(’22)로, 기술격차는 5.2년(‘07)→4.8년(’14)→2.4년(‘18)→2.1년(’22)으로 변화했다. 지난 2018년 복지부 R&D 사업이 2년간 중단된 이후 2020년 재개 후 산·학·연 연구자의 기술개발 노력을 경주한 결과라는 게 사업단의 말이다. 업계 관계자는 “IFSCC(세계화장품학회)의 우리나라 발표 논문이 최근 2년 동안 크게 증가했다. 이는 현실적으로 복지부의 과제 연구를 통해 논문의 완성도가 높아진 결과”라며 정부의 R&D 지원이
신세계인터내셔날은 2022년 제3회 신기술(NET)·신제품(NEP) 인증서 수여식에서 ‘초유 유래 가수분해물을 활용한 미백 화장품 원료화 기술’로 화학·생명 분야 신기술 인증을 획득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기술은 신세계인터내셔날 화장품 기술혁신센터와 ㈜팜스킨이 공동 연구·개발했다. 국내 최초로 초유 성분을 생물전환 기술로 분해해 우수한 미백 효과를 갖는 화장품으로 원료화 했다는 설명이다. 갓 출산한 소에서 3~5일간만 생산되는 초유(初乳)는 다량의 기능성 성장인자와 일반 우유 대비 100배 이상의 높은 면역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하지만 초유 특유의 불안정한 조성비로 인해 화장품 원료로 쓰거나 제형 안정화를 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특히 보관이나 가공에도 제약이 많아 상용화가 어려운 소재 중 하나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2년에 걸친 공동 연구를 통해 국내산 청정 초유를 안정적이고 적합한 화장품 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했다. 효소처리와 정제를 통한 초유 분해 방식으로 기존 물질에는 없던 새롭고 우수한 미백 활성 효능을 개발했으며, 일반 초유 추출물 대비 미백효과가 2배 이상 뛰어난 것을 발견했다. 이와 동시에 고분자의 초유 물질을 저분자화 해 흡수율과 피부
아모레퍼시픽은 지난 14일~16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 JEJU)에서 열린 아시아동물실험대체법학회(ACAAE, Asian Congress for Alternatives to Animal Experiments)에 참가해 연구 성과를 공유했다고 밝혔다. 이날 세미나에서 아모레퍼시픽 R&I 센터 안전성연구랩장 안수선 박사는 그동안 아모레퍼시픽이 이어온 동물실험 대체법 연구 히스토리를 발표했고, 동센터 서정은 박사는 디지털과 바이오 기술을 활용해 기존의 동물대체시험법을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연구 결과를 공유했다. 아모레퍼시픽의 동물대체실험법 연구 참여는 ▲1994년 서울대학교 피부과, 원자력병원과 함께 인공피부제조에 관한 공동연구 진행 ▲1997년 정부 과제로 피부전용제제의 안전성평가를 위한 in vitro 대체시험법 개발 과제 수행 등으로 초석을 닦았다. 이는 국내에서 개발한 시험법이 OECD 시험법으로 등재되는 데에도 기여했다. 아모레퍼시픽은 새로운 동물대체시험법과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마이크로 디바이스 기반 3D 하이브리드 인공조직 개발 ▲화장품 성분의 피부 투과도 DB 구축 및 예측프로그램 개발 ▲인공피부 진피 강화를 위한 신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