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CIS를 주목하라"... 코트라, 포스트 러·우 대비 수출 교두보로 활용

  • 등록 2025.07.17 22:05:12
크게보기

CIS지역 무역투자확대전략회의 개최... 고성장 중앙아시아 시장 집중 공략 등 유라시아 협력 확대

“포스트 러·우 사태 대비 및 러시아 비즈니스 리셋을 준비해야 한다.” 16일 알마티서 ‘2025 CIS지역 무역투자확대전략회의’에서 KOTRA 강경성 사장이 강조한 말이다. 

그는 “CIS 지역은 격변하는 글로벌 통상환경 속에서 우리의 경제안보 확보를 위한 전략적 요충지다. 코트라는 민첩한 글로벌 파수꾼으로서 위기와 기회를 조기에 포착하여 미래를 대비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CIS지역은 최근 공급망 재편 전환기를 맞이하면서 우리에게 새로운 기회로 다가오는 시장이다. 세계 최대 수준의 자원을 보유한 한편, 대부분의 공산품을 수입에 의존하는 경제구조는 우리와의 상호협력 가능성이 크다.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지리적 특성과 더불어 한류에 열광하는 젊은 층의 현지 문화 또한 신흥 유망시장을 찾는 우리에게 좋은 기회요인이라는 게 코트라의 분석이다.

러시아는 수출통제 품목 확대 조치에도 불구하고 2024년 기준으로 우리 중소기업의 9번째 수출국(27억달러)이었다. 카자흐스탄은 역내 대체 생산기지로 부상하면서 수출이 전년 대비 19% 증가한 23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뿐만 아니라 몽탄(몽골+동탄) 신도시라고 불리는 몽골은 수출액이 20% 증가하면서 역대 최대인 5.8억 달러를 달성했고, 한-몽 경제동반자협정(EPA) 체결을 앞두고 있어 더욱 기대되는 시장이라는 설명이다.

이날 회의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 CIS 7개 국가 10개 무역관장이 참석하여 ▲ 한국형 비즈니스 성공모델의 중앙아시아 확산 전략 ▲ 카프카스 3국의 미개척 시장 진출 전략 ▲ 한-러 경제협력 확대 방안 등을 주제로 열띤 논의를 이어갔다. 

코트라 분석에 따르면 ➊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는 글로벌 복합 위기에도 불구하고 지리적 안정성과 젊은 소비층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 중인 시장 ➋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회원국 간 무관세 혜택을 기반으로 한 역내 시장 확장성 ➌ 높은 한류 브랜드 파워를 보유해 우리 기업의 CIS 지역 진출 테스트베드 유리 등이 기회로 부각된다. 

대응방안으로 KOTRA는 한류를 기반으로 성공한 몽탄 비즈니스 성공모델을 중앙아시아에도 전파하겠다는 계획이다. 편의점, 프랜차이즈, 의료·바이오 산업이 중앙아시아 진출 유망산업으로 꼽히며 이를 위해 한류박람회, 현지 대형 유통망 입점사업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한편 한국은 러시아 기초 화장품 수입에서 전체의 35%를 차지하며 1위다. 모스크바무역관은 “향후 글로벌 기업이 러시아 시장에 본격적으로 재진입하고 한국 제품 간 경쟁이 더욱 겨고하되는 등 변화에 대비해야 한다. 확실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여 점유율을 수성하고 기초 외 향수와 색조도 공략해야 한다”라며 다음 챕터를 열어갈 시점이라고 전했다. 

카자흐스탄 화장품 시장은 수입 의존도가 85%에 달한다. 프랑스와 이탈리아산 프리미엄 브랜드부터 천연 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K-뷰티 제품, 독일산 더마 코스메틱, 러시아와 튀르키예산 중저가 제품까지 다양한 브랜드들이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다. 한국산 화장품의 경우 젊은 층을 중심으로 K-뷰티 인지도가 상승하며 마스크팩, 트러블케어, 민감성 피부를 위한 스킨케어 제품을 중심으로 시장 점유율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알마티무역관은 “카자흐스탄 및 중앙아시아 시장 공략을 희망하는 기업은 매년 개최되는 Central Asia Beauty Expo 국제전시회를 시장 진입 기회로 활용해 볼 수 있다”고 전했다. 2024년 동 전시회에는 30개국 450개 기업이 제품을 선보였으며,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러시아, 몽골 등에서 온 약 1만 1000명의 관람객(80% 이상이 B2B 바이어)이 방문했다고 한다. 

‘25년 상반기 화장품 수출액은 ▲ 6위 러시아 2.1억달러 ▲ 18위 카자흐스탄 5674만달러 ▲ 22위 키르기스스탄 4409만달러 등이다. 

권태흥 기자 thk@cncnews.co.kr
Copyright ©2017 CNCNEW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씨앤씨뉴스 I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서울, 아52335 I 등록일자: 2019년 5월 14일 제호: CNC News 주소: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8길 42, 101호(역삼동, 씨엘빌딩) 발행인: 권태흥 | 편집인: 권태흥 | 전화번호 : 02-6263-5600 광고·문의: 마케팅국 02-6263-5600 thk@cncnews.co.kr Copyright ©2019 CNC 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