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화장품+뷰티서비스 동반성장, 시너지 방안은?

보건산업진흥원, 산업 간 연계 R&D, 홍보마케팅 등 정책 지원 필요
국산 브랜드 사용률 두발미용업 68~80%, 메이크업은 25~42%로 저조

화장품과 뷰티서비스 산업은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릴’ 순망치한(脣亡齒寒)의 밀접한 관계이지만 정작 양 산업 간 동반성장 방안 논의는 없었다. 이에 대해 보건산업진흥원 뷰티화장품산업팀은 “두 산업은 상호보완 관계로 향후 시너지 창출을 통해 더욱 발전할 가능성이 높으나, 실질적인 동반성장 체계나 정책지원 등 미흡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화장품·뷰티서비스산업 육성 및 동반성장 방안을 위한 기초조사‘) 

그러면서 “현장에서 얻어진 제품 니즈와 개선사항은 화장품기업에 피드백 되어 제품 개발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뷰티서비스산업에 더 나은 서비스 환경 조성 등으로 선순환 구조 형성이 가능하다”고 두 산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선 ▲정기적인 실태조사로 데이터 기반 정책발굴 및 지원 방안 마련 시스템 구축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 속 산업 간 공동 목표 수립 및 이해관계자의 적극적인 참여 동반 ▲두 산업을 연계한 다양한 홍보 마케팅 지원 등을 실천 방안으로 제안했다. 

두 산업간 교류를 위해선 정부지원 사업에 뷰티서비스의 참여 시스템 구축, 화장품 제품 개발에 뷰티전문가 공동 제품 개발 지원, 화장품·뷰티서비스산업 공동브랜드 개발 지원 등을 예시했다. 

실제 보건산업진흥원의 뷰티서비스 업종의 865개 표본조사(전체 0.6%)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국내 화장품 사용률이 높았으나, 색조는 해외 유명브랜드 점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뷰티서비스산업은 이용업(남성용 헤어), 두발미용업(파마, 염색, 컷트 등), 피부미용업(피부관리, 습포, 제모, 눈썹손질 등), 기타미용업(손톱, 발톱 등)으로 분류된다. 총 매출액은 6조 7404억원(’18)으로 연평균 3.9% 성장, 종사자 수는 22.9만명(‘18)로 추산된다. 전체 사업체 수는 13만9801곳(’18)이다. 두발미용업10만 2930곳, 피부미용업 2만 1964곳, 기타 미용업 1만 4907곳, 이용업 1만4679곳 등이다. 

이들 업종 865곳의 표본조사에 따르면 평균 연매출은 1.1억원이었으며, 두발미용업이 1.5억원으로 가장 높았다. 반면 이용업은 0.5억원으로 가장 낮았다. 

화장품 구입 비용은 연간 1071만원으로 월 90만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매출액의 9.% 수준이다. 두발미용업(1787만원)-피부미용업(900만원)-메이크업(727만원)-네일(596만원)-이용업(329만원) 순이다. 

제품 선택시 고려사항으로는 ①기능/효과 ②브랜드/제조사 ③가격 ④주변 추천 순이었다. 모든 제품군에서 국내 브랜드 사용률이 높았으며, 품질을 중시한 만큼 국내 브랜드도 우수한 품질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발미용업의 국내 브랜드는 염색(67.7%) 펌(80.4%) 스타일링(72.4%) 등에서 높은 사용률을 보였다. 주요 브랜드는 아모스가 3종 제품군에서 1위였다. 이어 로레알, 웰라, 시세이도, 인더스 순이었다. 



메이크업은 아이제품(42%) 베이스(36.4%) 립(25.4%)로 국내 브랜드가 기초제품에서 높은 사용률을 보였다. 하지만 색조제품은 맥, 로레알, 샤넬, 입생로랑 등 해외 브랜드 사용률이 높았다. 때문에 국내 브랜드 사용률을 높이기 위해서 제품 품질 및 표현력을 높이기 위한 연구개발과 브랜드 인지도 제고를 위한 홍보·마케팅이 강조된다. 

피부미용업에서는 국내 블내드 사용률이 클렌징(78.4%) 팩(91.1%) 마사지(74.6%) 등으로 높았다. 네일업도 국내 브랜드 사용률이 높았으며, 선호하는 브랜드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브랜드에 따라 제품 사용법 및 특성에 차이가 있어 실습이나 교육을 통해 사용한 익숙한 브랜드를 선호하는 특징을 보였다. 

뷰티화장품산업팀은 “모든 업종에서 국내 브랜드 사용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메이크업의 경우 해외 유명브랜드의 진입으로 국내 브랜드 사용률이 낮게 조사됐다”며 “5개 업종 모두 제품 선택 기준은 ‘품질’이라고 응답함에 따라 화장품기업의 연구개발 및 홍보 마케팅에 대한 정부 지원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