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화장품 수출 중국 비중 37%로 급감...제조업자 표기 때문

2021.08.01 15:07:59

미·일·베·러 등 K-뷰티 중소기업 수출 비중 74~93% 차지...중국과 대조적
’제조업자 표기 삭제‘ 화장품법 개정만이 “K-뷰티 중소기업 살 길”

K-뷰티 중소기업의 수출 전선이 수상하다. 중국에서 밀려나는 대신 미국·일본·신남방·신북방 등에서 현지화를 통해 활로를 모색, 선전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 수출액은 7월 6.5억달러를 기록하며 순항 중이다. 8월 1일 산업통상부의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화장품 수출은 전년 대비 11.7% 증가하며 14개월 연속 수출 증가세를 이어갔다. 



산통부는 화장품의 경우 ①유튜브, SNS 등 다각화된 마케팅 창구를 통하여 K-뷰티에 대한 관심과 선호 확산 ②한국의 깨끗하고 안전한 기술력에 대한 신뢰가 브랜드 이미지로 연결 ③중국・미국・일본으로의 수출이 모두 증가 등의 특징을 보였다고 요약했다. 

품목별로는 △메이크업·기초화장품 4.2억달러(+18.2%) △세안용품 0.2억달러(+14.3%) △기타 화장품 0.4억달러(-3.1%) 등이었다. 국가별로는 △중국 2.4억달러(+14.9%) △미국 0.6억달러(+19.1%) △일본 0.5억달러(+18.9%) 순이었다. 

이로써 1~7월 누적 화장품 수출액은 52.7억달러로 전년 대비 31% 성장했다. 국가별로는 중국·미국·일본이 3대 수출국이다. 



7월 화장품 수출 동향 특징은 ▲총 수출액 증가세 유지 ▲중국 비중 하락 ▲신남방·신북방 등 ‘수출 다변화’ 뚜렷 등으로 요약된다. 

총 화장품 수출액 중 중국 비중은 37%로 처음으로 30%대로 급감했다. 월별 기준으로 중국 비중은 항상 50%('21년 상반기 51.8%)를 상회했었으나 올해 2월(47.5%) 6월(44.7%) 두 차례 50% 미만을 기록했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중국 시장에서 K-뷰티 중소기업의 고전이 심각하다. K-뷰티와 로컬 간 품질 차이가 거의 없는 데다 라이브 커머스 등 마케팅비 증가, 위생허가 인증비 부담 외에 로컬과의 포지셔닝 경쟁에서 밀리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그 저변에는 중국에 진출한 빅3 ODM의 레시피가 K-뷰티 중소기업과 겹치면서 유사 제품(me too)이 증가하고, 온라인 SNS 채널의 로컬에 유리한 환경, 애국마케팅 등으로 K-뷰티 중소기업의 설 자리가 좁아졌다는 평가다. 

특히 제조업자 표기 때문에 중국 수입·유통업자들이 ODM에 Me too 제품을 직접 주문하거나 또는 원가를 파악하고, 수입가 인하를 요구하는 등 K-뷰티 중소기업의 수출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대표적인 품목이 마스크팩(10매 기준)으로, 처음 3000원 대에 수출되다 2000원대에서 지금은 1000원대로 하락했고, 그마저도 로컬에게 밀리면서 마스크팩 업계는 초토화됐다. 

그로 인해 K-뷰티 중소기업이 전체 화장품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74%(‘18)→59%(’21 상반기)로 급감 중이다. 향후 K-뷰티 수출 중소기업은 중국에서 "퇴출 수순을 밟을 게 뻔하다"는 게 업계의 한숨이다. 



한편 화장품 수출 동향에서 눈에 띄는 변화는 K-뷰티 중소기업의 현지화 적응에 따른 미국·일본향 수출 사례 증가다. ‘21년 상반기 수출증가율은 미국 33.8% 일본 47.7%로 코로나19에도 호조다. 수십여 년 동안 대기업들이 뚫지 못했던 선진국 시장을 롬앤, 코스알엑스 등 K-뷰티 중소기업들이 선도하고 있다. 또한 신남방의 대표 국가인 베트남 48%, 신남방의 대표 국가 러시아 24.7% 등 각각 큰 폭 성장하며 K-뷰티 붐을 선도하고 있다. 

본지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21년 상반기(1~6월) 5대 국가 수출액 중 K-뷰티 중소기업의 비중은 중국 43%인데 비해 미국 74% 일본 80% 베트남 89% 러시아 93% 등이다. 중국시장에서 중소기업 퇴출이 현실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제조업자 표기로 피해를 본 K-뷰티 중소기업들이 대거 중국 시장을 떠나 ’수출 다변화‘ 노력을 기울이는 모양새다. 중국 피해를 제3국에서도 당하지 않도록 화장품 업계는 하루빨리 국회에 계류 중인 ’제조업자 표기 삭제‘ 화장품법 개정안(김원이 의원 대표발의)이 통과되길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권태흥 기자 thk@cncnews.co.kr
Copyright ©2017 CNCNEW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씨앤씨뉴스 I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서울, 아52335 I 등록일자: 2019년 5월 14일 제호: CNC News 주소: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8길 42, 101호(역삼동, 씨엘빌딩) 발행인: 권태흥 | 편집인: 권태흥 | 전화번호 : 02-6263-5600 광고·문의: 마케팅국 02-6263-5600 thk@cncnews.co.kr Copyright ©2019 CNC 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