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 미쟝센이 새치 커버 전용 거품 염모제 ‘쉽고 빠른 거품 염색’을 업그레이드 출시했다. ‘쉽고 빠른 거품 염색’은 원터치 에어로졸 용기에서 1제와 2제가 동시에 나와 섞을 필요 없이바로 염색을 시작할 수 있다. 용기에서 나오는 거품으로 샴푸하듯 쓱쓱 바르면 10분 안에 새치를 완벽하게 커버해준다. 더 쫀쫀해진 무스 제형 거품이 발림성과 염모 성분의 밀착력을 높여 염색 도중 제품이 흘러내릴 걱정 없이 더욱 선명한 컬러 발색을 경험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무향, 무암모니아로 집에서 자극적인 냄새 없이 셀프 염색을 할 수 있고, 사용 후 잔여량은 용기에 그대로 보관해 다음 염색에도 사용 가능하다고 한다. 새롭게 선보이는 미쟝센 ‘쉽고 빠른 거품 염색’ 라인은 흑색, 흑갈색, 짙은 갈색, 갈색, 밝은 갈색 등 총 5가지 컬러로 구성되었다.
토니모리가 일본 대표 드럭스토어 ‘웰시아(Welcia)’를 포함한 아인즈앤툴페(Ainz&Tulpe), 앳코스메(@cosme), 숍인(SHOP IN) 등 전국 719여개 매장에 추가 입점한다. 지난 4월 버라이어티숍 ‘LOFT’ 60개점에 이어 일본 오프라인 시장 확대를 가속화해 입지 확보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입점한 제품은 토니모리의 베스트셀러 ‘원더세라마이드 모찌토너, 에멀전 2종’과 ‘겟잇틴트 글레이즈밤 5종’이다. ‘원더세라마이드 모찌토너’는 세라마이드와 히알루론산 성분이 함유했으며 라쿠텐 일간 인기랭킹 6개 부문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겟잇틴트 글레이즈밤’은 탕후루처럼 반짝이는 립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일본 트렌드를 반영한제품이다. 토니모리는 24년 주요 전략을 글로벌 시장 확대로 잡고, 일본 외에도 미국, 유럽, 동남아 등 주요 국가에서 입지를 넓혀갈 계획이다.
㈜스타스테크(대표 양승찬)의 불가사리 콜라겐 원료로 잘 알려진 페넬라겐® 브랜드가 ‘코스모프로프 북미 라스베이거스 2024’에 참가, 글로벌 진출을 겨냥한다. (7월 23일~25일,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다레이베이 컨벤션 센터) 2023년부터 시작된 "코스모프로프 북미 라스베이거스"는 올해로 21회째를 맞이하며 매년 수많은 뷰티 산업 종사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는 세계 최대 뷰티 전시회이다. 페넬라겐®은 불가사리에서 추출한 친환경 콜라겐 펩티드를 탄성 에토좀에 가득 담재시켜 피부 진피층까지 흡수시키는데 성공한 최초의 콜라겐 원료이다. 국제 원료집에 등재되었으며, 세계 학술지 SCIE급 저널 논문에 게재됐다. 일반 콜라겐 대비 2,392배 뛰어난 피부 흡수력을 인정받아 특허로 등록되었다. 해당 원료를 함유하고 FDA 승인까지 완료한 화장품 브랜드 라보페 및 리라브 제품들도 선보일 예정이다. 주요 품목으로 라보페 브랜드의 ▲ 퍼스트 인 리치 인핸스 에센스, ▲ 유쓰 인핸스 액티베이터, ▲ 인핸스 캡쳐 크림, ▲ 코어 팩 클렌저, ▲ 프라임 더블 스킨 앰플 SET 등이다. 또한 자외선 차단부터 입술 보습까지 책임지는 코어 립큐어 볼륨 립밤, 중국 콰이쇼우 어워드 ‘다
미국과 중국의 화장품 규제 최신 동향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세미나가 ‘2024 인코스메틱스 코리아’(in-cosmetics korea) 기간에 개최된다. (7월 24일(수) ~ 7월 26일(금), 서울 코엑스 COEX) 이번 세미나는 글로벌 규제 컨설팅 기업 리이치24시코리아(주)(대표 손성민)가 K-뷰티의 중요 수출 국가인 중국과 미국의 원료 및 화장품 최신 규정 및 동향에 대해 발표한다. 전시회 첫째 날인 7월 24일(오후 3시) 마케팅 트렌드 세미나룸(307호)에서 손성민 대표가 '중국 화장품 신원료 등록 현황 및 대응 전략'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다. 최근 200건을 돌파한 중국의 화장품 신원료 등록 현황과 규제 전반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대응 전략 수립 정보를 제공한다. 손 대표는 이번 전시회 이노베이션 어워즈(Awards) 심사위원으로 위촉되어 활동할 예정이다. 7월 26일(오전 11시 30분) 같은 장소에서 박희재 선임연구원이 '미국 MoCRA 규제 대응과 화장품 안전성 입증 및 시설 등록 가이드'를 발표할 예정이다. 미국의 MoCRA 규제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과 함께 화장품 안전성 입증 절차 및 시설 등록 가이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한
‘2024 코스모프로프 북미 라스베가스’(7월 23~25일 현지시간) 개막을 하루 앞두고 한국관에 전시될 전시 물품이 몽땅 도난당하는 초유의 일이 발생했다. 23일(한국시간) 오전, 씨앤씨뉴스에 제보된 내용에 따르면 “한국관으로 보낸 모든 전시품이 도난당해서 고생이네요 ㅜㅜ”라며 참가업체 대표의 전언이 있었다. 그는 현재 하네다-라스베가스로 가는 중이며, 현지 파견 직원으로부터 소식을 들었다고 했다. 물류를 담당한 기업의 긴급공지에 따르면 “저희 회사로 발송하신 전시품이 통관 후 전시장으로 운송도중 모두 도난을 당했습니다. … 급한 것이 추가 물품 발송이라 진행에 대해 말씀을 드리려 합니다. 한국시간으로 아침이 되어야 정확한 추가 운송을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만. 추가로 운송을 진행할 전시품 준비를 부탁드립니다. 기업별로 2박스씩 … ”라며 23일 오전 5시 40분 발 내용이 담겨 있었다. 현지 부스 사진을 보면 디스플레이만 있고, 진열매대에 전시해야할 화장품만 비어있는 상태. 현지 시간으로 22일 오후여서 시간이 촉박해 보였다. 이에 대해 전시대행사인 코이코 김성수 대표는 “K-뷰티 인기가 전시물품 인터셉트 타깃이 되었네요. 한국공동관을 코이코에서 진행하고
아포스티유(Apostille) 및 본부영사확인서란 외국에 제출하는 공문서에 대해 재외동포청장이 진위를 확인해주는 인증서다. 공문서란 정부기관 발급 문서, 공증문서 등이 해당된다. 화장품을 수출할 때 ❶ 제조판매증명서, ❷ 제조증명서, ❸ 제조업자증명서, ❹ 책임판매업자증명서, ❺ 기타주소변경증명서, ❻ 물종증명용원산지증명서 등 6종(영문, 중문 등)이 요구된다. 이때 공증인의 공증을 받아야만 아포스티유, 본부영사확인서를 신청할 수 있었다. 앞으로 이같은 추가 공증을 생략하고 바로 아포스티유, 본부영사확인서를 발급받을 수 있게 된다. 식약처는 재외동포청장과 협의를 통해 화장품 업계의 애로사항을 해소를 통해 수출을 지원한다고 22일 밝혔다. 현재 대한화장품협회에서 발급하는 증명서 6종은 연간 1만 8천여건에 달한다. 식약처는 절차 개선에 따라 화장품 수출기업들이 연간 약 18억원의 공증비용을 절감할 것이라고 추산했다.
식약처는 ‘우수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일부개정 고시를 행정예고했다. 의견수렴은 8월 5일까지 의견서를 제출하면 된다. 이번 CGMP 개정 이유는 국제 표준인 ‘ISO 22716'과의 국제 조화로 업계의 업무 효율성 제고 및 국제경쟁력 강화라고 식약처는 밝혔다. 그동안 업계에서는 CGMP와 ISO 22716 간 일부 용어의 정의, 업무 범위 명확화, 책임소재, 기준 보완 등을 제기한 바 있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민관 협의체인 ‘K-코스메틱 점프업’을 통해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개정 주요 내용은 ➊ 국제표준을 참고하여 명확히 구분·관리가 어려운 ‘반제품’의 정의 삭제 등 용어 통일(안 제2조) ➋ 조직의 구성, 직원의 책임, 교육훈련 등 인적자원을 국제표준을 참고하여 용어 수정(안 제3조, 제4조, 제5조) ➌ 의무적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오인 소지가 있는 환기시설 예시 ‘공기조화시설’ 삭제 등 시설기준을 국제표준과 통일(안 제8조) ➍ 국제표준과 같이 제조업체에서 재작업 대상 및 기준을 설정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개선(안 제22조) 등이다. 첫째, 용어의 경우 제2조제15호 ① 교정 → 검교정 ② 17호 삭제 ③ 제21호 완제품, 벌크 제품
색조화장품 전문 ODM 씨앤씨인터내셔널이 배수아 대표를 전면에 내세우고 ‘매출 1조 드라이브 달성’을 선언했다. 22일 씨앤씨인터내셔널은 이사회를 열고 배은철 단독대표 체제에서 배은철, 배수아 각자대표 체제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이는 ‘경영 효율성 제고 및 책임경영 강화’를 위한 포석이라고 공시했다. 배수아 부사장은 대표이사 사장에 선임됐으며, 배은철 대표는 회장으로 취임했다. 배수아 사장은 최고제품개발책임자(CDO)로 전권을 부여받아 제품기획, 연구개발, 마케팅 등 다방면에 걸쳐 진두지휘한다. 배은철 회장은 사업 전략 구축과 실행에 집중하는 한편 신임 배 사장의 리더십 안착을 위해 적극 지원에 나선다. 회사 관계자는 “적극적인 신제품 개발과 신시장 개척으로 회사가 본격적으로 성장궤도에 오른 만큼 그 기세를 이어가는 취지에서 효율적으로 회사를 운영하고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해 각자대표 체제로 전환하게 됐다“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배수아 사장은 씨앤씨인터내셔널의 미래 성장동력을 마련한 주역으로 평가된다. 2009년 평사원으로 입사, 소비자 및 브랜드사의 니즈를 섬세하게 파악해 히트 제품 개발에 적극 참여했다. 소비자-브랜드-제조사 간 균형점을 절묘하게 포착, 매